본문 바로가기

건강87

낮은 기초대사량(BMR) 극복하기 기초대사량이란? 생물체가 생명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에너지양을 말합니다. 체온 유지나 호흡, 심장 박동 등 기초적인 생명활동을 위한 신진대사에 쓰이는 에너지양으로 보통 휴식 상태 또는 움직이지 않고 가만히 있을 때 기초대사량만큼의 에너지가 소모됩니다. [두산백과] 기초대사량은 다음의 요인에 따라 영향을 받습니다. ① 연령: 나이가 들수록 기초대사량은 감소합니다. ② 성별: 남성의 기초대사량이 여성보다 약 10% 더 높습니다. ③ 체중: 제충이 증가할수록 기초대사량은 증가합니다. ④ 근육량: 근육량이 많을수록 기초대사량은 증가합니다. ⑤ 호르몬: 갑상선 호르몬의 분비가 많을수록 기초대사량은 증가합니다. 기초대사량이 높을수록 같은 양의 음식을 섭취하더라도 체중이 쉽게 증가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다이어.. 2023. 12. 22.
연말 술자리 고민, 술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음주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 술은 1군 발암물질이고, 신체적·정신적으로 다양한 해를 끼치므로, 건강과 암 예방을 위해 하루 한두 잔의 소량 음주도 피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질병관리청) 과거에는 '적정음주량'이라는 개념이 있어 국제암연구기금에서도 남자는 하루 두 잔까지, 여자는 하루 한잔까지 허용하였지만, 지금은 그런 허용기준은 사라졌습니다. 또한 세계보건기구(WHO)도 적정음주량은 제로(0)라고 선언했습니다. 국제암연구소에서는 술을 1군 발암물질이라고 발표했습니다. 1 군이라는 의미는 인간에게 명백한 발암성이 입증되었다는 뜻입니다. - 술은 구강암, 인두암, 후두암 식도암, 간암, 유방암, 대장암을 일으킵니다. - 술은 심혈관질환의 위험요인으로 고혈압을 일으킵니다. - 과도한 음주는 영양 결핍과 수면장.. 2023. 12. 20.
입냄새, 의외로 간단하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 입냄새의 원인 구강 내 원인 ● 구강 건조증 구강 건조증은 침의 분비가 감소하여 구강 내 자정 작용이 약해져서 여러 세균이 번식하게 되어 입냄새가 발생하게 됩니다. ● 구강 위생 불량 구강 위생이 불량하면 음식물 찌꺼기와 세균이 쉽게 쌓이게 되어 입냄새가 날 수 있습니다. 특히 치아와 잇몸 사이의 틈새에 낀 치태와 치석은 세균이 번식하기 좋은 환경을 제공합니다. ● 설태 혀에 낀 설태는 세균의 온상이 되어 입냄새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 충치 치아에 구멍이 생기는 질환으로 치아의 법랑질과 상아질을 손상시킬 수 있습니다. 충치가 심해지면 치수염으로 진행될 수 있으며, 치수염이 있으면 입냄새가 날 수 있습니다. ● 잇몸질환 잇몸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잇몸이 붓고 출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2023. 12. 6.
항생제 내성, 그 위험성을 알고 계시나요? 항생제란? 항생제(antibiotic)는 세균을 죽이거나 세균의 성장을 억제하는 약을 말합니다. 항생제는 원래 진균(곰팡이)과 같은 미생물이 생존 경쟁의 관계에 있는 세균을 억제하기 위해 만드는 물질로 자연에서 우연히 발견되었습니다. 항생제는 세균의 세포벽 합성, 단백질 합성, DNA 복제 등의 생명 활동을 방해하여 세균을 죽이거나 성장을 억제합니다. 항생제는 세균에 의한 감염 질환을 치료하는 데 매우 효과적이지만, 항생제의 오남용으로 인해 항생제 내성 세균이 증가하고 있는 문제가 있습니다. 항생제 내성이란? 항생제 내성은 세균이 항생제의 효과에 저항하여 생존 혹은 증식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합니다. 다시 말해, 항생제가 세균을 죽이거나 성장을 억제하지 못하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항생제 내성은 세균의 자연.. 2023. 11.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