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 정신건강39

작은 실수도 다 알려? 친구의 습관이 드러내는 의미 어렸을 때 이런 친구를 가끔 볼 수 있었어요. 집 밖에서 일어난 사소한 일(작은 실수)들을 그 친구의 엄마에게 말하고, 그 엄마는 우리 엄마에게 속속들이 전하는 일이 있지요. 하지만 전달받는 엄마의 입장에서는 한두 번도 아니고 매번 내 아이에 대해 안 좋은 얘기를 듣게 되면 속이 상할 수 있습니다. 집 밖에서 일어나는 사소한 일들을 엄마에게 말하는 친구의 심리는 무엇일까? 아이가 친구의 작은 실수 얘기를 듣고 친구의 엄마에게 전달하는 심리는 무엇일까? 친구가 작은 실수에도 친구의 부모나 선생님에게 일러바치는 행동은 크게 두 가지 심리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첫 번째는 책임감입니다. 친구는 자신의 친구나 지인에 대한 책임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들이 잘못하거나 문제가 생기면 그것을 바로 잡아.. 2023. 12. 20.
상상의 세계에서 현실로: 망상 장애의 치료와 극복 망상 장애 Delusional Disorder 편집증 또는 망상장애는 현실세계의 현상,사건과는 동떨어진 망상을 진실로 믿고 이에 집착하는 정신증의 일종입니다. 망상체계는 그 내용이 일관적인 경우가 많으며 조현병과 달리 망상과 연관된 것을 제외하면 별다른 이상을 보이지 않아 다른 정신증에 비해 사회적·직업적 기능이 상대적으로 유지되는 경향을 보입니다. 망상장애 원인 망상장애의 원인은 명확히 규명되어 있지 않지만 유전적, 생물화학적,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 생물학적 요인 ▷ 뇌의 구조적 이상: 망상장애 환자의 뇌 영상 검사에서 변연계, 기저핵, 전두엽 등의 뇌 영역에서 구조적 이상이 발견된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 신경전달 물질의 이상 : 도파민, 세로토닌, 글루타메이트 등.. 2023. 9. 18.
학교폭력, 그들은 왜 폭력을 가하는가? 심리 “학교폭력”이란 학교 내외에서 학생을 대상으로 발생한 상해, 폭행, 감금, 협박, 약취·유인, 명예훼손·모욕, 공갈, 강요·강제적인 심부름 및 성폭력, 따돌림, 사이버 따돌림, 정보통신망을 이용한 음란·폭력 정보 등에 의하여 신체·정신 또는 재산상의 피해를 수반하는 행위를 말합니다(「학교폭력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 제2조 제1호). 학교폭력 가해자의 심리적 특성 충동성: 감정을 조절하지 못해 충동성은 계획 능력의 부족, 결과를 고려하지 않고 빨리 반응하려는 성향, 자극 추구 성향, 그리고 지연된 보상보다는 즉각적인 보상을 선호하는 것 등의 자기 조절의 문제를 반영하는 다양한 범위의 행동을 포함합니다. 충동성이 높은 학생은 괴롭힘의 가해행동을 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충동적인 가해자는 자신의 감정을 조.. 2023. 9. 9.
잠들지 못하는 이들을 위한 지침: 불면증 불면증 Insomnia 불면증은 수면의 양과 질이 부족하여 일상생활에 지장을 주는 상태를 말합니다. 잠들기 어렵거나 자주 깨거나, 아침에 일찍 깨어 다시 잠들지 못하는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이러한 증상이 2주 이상 지속되면 불면증으로 진단됩니다. 불면증은 매우 흔한 증상으로, 단기 불면증은 전체 인구의 30-50 %에서 발생합니다. 일시적인 불면증이 아닌 만성 불면증의 유병률은 선진국에서 적어도 6% 정도 이상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성인에서 17-23%, 노년층에서 29.2%까지 보고되었습니다. 일반적으로 불면증은 남성보다는 여성에서 유병률이 높고, 연령대가 높을수록 더 흔하게 관찰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불면증의 자연 경과에 대한 연구를 보면, 약 70%의 환자가 1년 동안 증상이 .. 2023. 9. 8.